코딩 성장기

[네트워크] 네트워크 기초 본문

네트워크

[네트워크] 네트워크 기초

김소우 2022. 3. 15. 12:11

웹(Web/World Wide Web)

전 세계적인 연결망. 웹을 통해서 전 세계의 다양한 웹 페이지/웹 브라우저 에 접속할 수 있다.

웹 페이지에 적혀있는 글들을 Hyper Text(다른 텍스트에 대한 참조를 가지고 있는 텍스트) 라고 하는데,

현재는 기술이 발달하여 텍스트 외에도 이미지, 영상 등 다양한 자료를 웹페이지에서 볼 수 있다.

 

여기서 잠깐!

HTML(Hyper Text Markup Language) : HTML은 웹 페이지에 있는 하이퍼 텍스트를 마크업 하는 언어이다.

 

  • 클라이언트(웹 브라우저/어플 등) : 필요한 데이터를 서버에 요청(Request)하는 곳
  • 서버 : 클라이언트로부터 받은 요청에 따라 응답하여(Response) 요청 받은 데이터를 보내주는 곳

URL(Uniform Resource Locator) &  URI(Uniform Resource Identifier)

URL 이란?

웹에 존재하는 데이터(웹 페이지, 이미지 등)의 위치를 나타내는 문자열.

scheme, hosts, path로 이루어져 있다.

 

URI 란?

URL에 query, bookmakr를 더하여 이루어진 문자열이다.

 

URL/URI의 구조

https://developer-sowoo.tistory.com/manage/newpost/?type=post&returnURL=%2Fmanage%2Fposts%2F#

스킴(Scheme)      호스트(Host)           경로(Path)                      쿼리(Query)

 

  • 스킴(Scheme) : 프로토콜의 이름. 통신 방식을 결정한다. 여러가지 종류가 있으며, 웹에서는 http / https / feed / tel / mailto / IPFS 가 있다.
    • http(Hyper Text Transfer Protocol) : 웹과 서버간 데이터를 주고 받기 위한 통신 규약
    • https(Hyper Text Transfer Protocol Secure) : http에서 안정성(보안성)이 강화된 통신규약
  • 호스트(Host) : 네트워크에서 호스트는, 많은 서버들 중 특정 서버를 지칭하여 나타낸다. 도메인 or IP를 사용.
  • 경로(Path) : 호스트에 있는 데이터중 특정 데이터를 지칭한다. 경로 작성법은 해당 서버를 설계한 개발자의 규칙에 따라 결정된다.
  • 쿼리(Query) : URL 에서 ? 뒷부분에 해당하는 영역. 존재할때도 있고, 존재 하지 않을때도 있다. 경로에 있는 데이터를 더 세부적으로 볼때 사용한다. 경로처럼 해당 서버의 규칙에 따라 작성법이 결정된다.

프로토콜 

컴퓨터간 or 웹과 서버 사이의 통신을 위한 규약. 

일상 생활에서도 규칙에 따라 행동하듯이(한국에서는 한국어를 사용한다. 일본에서는 일본어를 사용한다.)

통신을 할때도 규약(프로토콜)에 따라 통신이 일어난다.

OSI 7 layers에 따라 계층마다 다양한 프로토콜이 존재한다.

Client Server Architecture(2-Tier Architecture)

리소스(데이터)를 사용하는 곳과 리소스(데이터)가 존재하는 곳을 분리해놓는 구조.

'클라이언트 - 서버' 로 이루어진 구조를 말한다. 

프로토콜에 따라 요청과 응답이 이루어 진다.

클라이언트로부터 요청이 있을때만 서버로부터 응답이 생긴다.

3-Tier Architecture

클라이언트 서버 아키텍쳐에 리소스(데이터)를 저장하는 공간인  databas(데이터베이스)가 추가된 구조.

클라이언트가 리소스를 요청하면, 서버는 요청을 받아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알맞는 리소스를 클라이언트에게 전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