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분류 전체보기 (96)
코딩 성장기

To do ORM 이용해서 마이그레이션 하기 - 요즘 핑계이지만, 과제나 수업을 들으면서 시간이 부족하다는것도 있지만.. 블로깅이 뜸해졌다. 새로운것을 배울 때 마다 이전 개념들이 부족한것이 확인되면.. 새로운것 배움 -> 이전 개념이 부족함 -> 이전 개념 공부 -> 다른 이전 개념 부족함 -> 다시 공부.. 이게 반복되다보니 시간이 많이 나지 않는다. 프로그래밍은 정말 시간과 노력이 많이 드는 일이라는 것을 깨달았다.
데이터 베이스에서 Schema(스키마)란? 데이터 베이스(data base)에서 데이터가 구성되는 방식과 서로 다른 entity(엔티티)간의 관계. 데이터 베이스의 '청사진' 이라고도 볼 수 있다. entity(엔티티)란? 데이터들의 집합이라고 생각하면 편하다. 정보의 단위. 데이터 베이스 관련 용어 table / relation : 데이터가 행으로 축적되는 구조화된 데이터. field / column : 데이터 테이블의 '열' record / tuple : 데이터 테이블의 '행' primary key(기본키) : 각 테이블의 레코드 하나를 가르키는 고유한 숫자. 자동으로 할당된다. ID 필드가 이에 해당됨. foreign key(외래키) : 현재 테이블에서 참조하고 있는 외부 테이블의 키값을 말할때 사..

To do SQL W3 School에 있는 개념 한회독 W3 school SQL 문제 풀기 기수정렬/계수정렬 개념 공부

To do SQL 개념 공부 및 설치 알고리즘 한문제 분석 - SQL을 설치하고나서 root 권한으로 접근하려고 하니, 계속 오류가 생겼다. root 라는 계정은 localhost에 설치가 되어 있지 않아서 변경해주었다. 개발 분야는 항상 느끼는 거지만, 간단한 부분에서도 체크해야 하는 부분들이 많다고 느낀다. (시작하기 전에 체크하기 보다는, 우선 시도를 해보고 오류가 무엇인지 찾아내는것이 좋다!) - 알고리즘은 한문제를 분석하는데 거의 하루가 지나갔다. 기수정렬/계수정렬 개념이 잡혀있지 않아서 레퍼런스 코드를 분석하기에 어려움을 겪었으며 아직도 완전히 알고리즘 문제를 분석하지 못했다. 우선 기수정렬/계수정렬 개념을 먼저 정리해야 할 것 같다.

한 사람이 3번의 기회에서 만들 수 있는 모든 가위바위보 조합을 출력한다. 가위/바위/보는 중복해서 낼 수 있으며, 바위(rock) > 보(paper) > 가위(scissors) 의 가중치를 갖는다. 내 코드(오답) function rockPaperScissors () { let resultSet = []; let row = ['rock', 'rock', 'rock']; let el = row.slice() // 배열에 rock paper scissors 넣어두고, 요소를 꺼내서 사용하기 const SET = ['rock', 'paper', 'scissors']; // 조합을 만든다 // row에 하나씩 추가한다. // 3개가 입력되면 row 를 resultSet에 넣는다. // 첫번째 요소 바꾸기 fo..
옮겨야 하는 짐들의 무게가 배열에 나타나있다. 박스가 옮길 수 있는 물건의 개수는 최대 2개이며, 박스가 담을 수 있는 짐의 무게가 정해져있다. 짐의 무게를 담은 배열 stuff와 박스의 무게 제한 limit가 매개변수로 주어질 때, 모든 짐을 옮기기 위해 필요한 박스 개수의 최소값을 return 하도록 movingStuff 함수를 작성하세요. 나의 코드(오답!) function movingStuff(stuff, limit) { let cnt = 0; // 첫번째 물건부터 계산하기 // 그 다음 물건부터 차례로 더해서 무게 측정 // limit 보다 클 경우 넘어가기 // 모두 다 넘어갔을 경우 cnt + 1 // limit 보다 작은 경우 cnt + 1 하고 반복문 탈출 for(let i = 0; i ..